부트캠프 후기 7

[비전공자의 AI 부트캠프 일지 #7] 머신러닝 프로젝트 회고

비전공자의 AI 부트캠프 일지 #7머신러닝 프로젝트 회고 - "재미있는 걸 해보자"에서 시작된 프로젝트_원티드 포텐업 부트캠프-데이터&AI 개발 과정  "우리가 재미있어 할 만한 것으로 해보자"  이번 글은 부트캠프 1월 머신러닝 과정에서 배운 것을 활용한 머신러닝 프로젝트에 대한 회고이다. 기술적인 설명보다는 '왜 이 프로젝트를 하게 됐고, 어떤 시행착오를 겪었는지, 무엇을 배웠는지'에 대해서 한 번 정리하는 이야기이다.  시작은 단순하게, 주변에서 찾아보기  '하고 싶은 것과 관심있는 것이 무엇인가요?' 라는 질문은 첫번째 데이터 분석부터 시작해 지금까지, 프로젝트 초반 주제에 대한 논의를 할 때 팀원들에게 가장 자주 던졌던 질문이다. 최종적으로 취업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보니 앞으로 하고 싶은 ..

[비전공자의 AI 부트캠프 일지 #6] 머신러닝 기초 정리_원티드 포텐업 부트캠프

[비전공자의 AI 부트캠프 일지 #6]머신러닝 기초 정리원티드 포텐업 부트캠프  지난 글에서 이야기했지만 머신러닝 파트에 들어가면서 새로운 어려움이라고 느껴진 이유가 수학적인 내용이었다. 이과와는 관련이 없던 사람이라 중요한 개념으로 경사하강법이 나오는데 이걸 이해하기 필요한 것이 미분이라고 한다. 새로운 배우는 언어이고 개념이라 쉽게 말하자면 초반 소통이 되지 않았다고 해야 할까...? 하지만 그렇다고 머신러닝이나 딥러닝을 배우지 못하는 거나 만들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서비스나 제품을 만들어가는 과정에서는 앞에 이야기했던 것처럼 비즈니스 이해와 내가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 싶은지, 어떻게 만들어가는지에 대한 이해가 더 중요하다고 나는 생각한다. 어렵다고 생각했던 경사하강법은 우리의 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비전공자의 AI 부트캠프 일지 #5] part2 .ML(머신러닝) 시작_원티드 포텐업 부트캠프

[비전공자의 AI 부트캠프 일지 #5]part2 .ML(머신러닝) 시작원티드 포텐업 부트캠프 2025년 새해가 밝았고 그러거나 말거나 원티드 포텐업 part2. 머신러닝이 시작되었다. 이번 part를 시작하면서 12월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를 하면서 아쉬웠던 부분들을 보완하고 싶었다. 이번에도 과정을 이해하면서 역할에 대해서 가져가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나 그래도 12월보단 조금 더 나아진 것 같다라는 생각과 함께 새로운 문제가 생겼는데...  머신러닝(Mechine Learning)이란? 먼저, 머신러닝이란 말 그대로 기계학습하는 것이었다. 나는 사실 뭔가 다른 것이 있을 줄 알았는데 정말 기계가 기존의 내용을 학습을 하고 예측을 하는 것이었다. 쉽게 3년 치의 날씨 데이터를 학습시..

[비전공자의 AI 부트캠프 일지 #4]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 회고_원티드 포텐업 부트캠프

[비전공자의 AI 부트캠프 일지 #4]데이터 분석 프로젝트 회고_원티드 포텐업 부트캠프  12월 30일 드디어 첫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에 대한 발표를 진행하고 이번 프로젝트가 마무리가 되었다. 처음 해보는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에 대한 설렘과 함께 아직 코드도 잘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잘 마무리 할 수 있을까? 라는 나에 대한 두려움도 있었다. 그래도 나에 대한 방향성에 대해서 고민을 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전반적인 흐름에 대해서 배울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 이번 글에서는 첫 프로젝트에서 마주한 문제들과 어떻게 극복했는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배운 점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비전공자 데이터 분석 도전기 #3 부트캠프 3~4주차_데이터 분석 프로젝트비전공자 데이터 분석 도전기 #3부트캠프 3~4주 차_데..

[비전공자의 AI 부트캠프 일지 #3]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

[비전공자의 AI 부트캠프 일지 #3]데이터 분석 프로젝트_원티드 포텐업  원티드 포텐업 부트캠프 3주 차가 되면서 첫 번째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우리 반의 총인원은 15명으로 3명씩 5개의 팀으로 나눠지게 되었고 이때 팀 구성하는 방법은 랜덤으로 5개의 팀이 구성될 수 있는 코드를 강사님께서 작성해서 팀 구성이 진행했다. 전에는 사다리를 타거나 랜덤으로 뽑는 프로그램을 찾아서 써봤지만, 실제로 코드로 이렇게 구현할 수 있다는 것도 나에겐 신기하게 느껴졌다. 첫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 경험을 통해서 앞으로 내가 어느 부분에 집중해야겠구나. 를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이 된 값진 경험이었다.  비전공자 데이터 분석 도전기 #1: 부트캠프 한달, 방향성 찾아가기벌써 2025년 1월 중반을 향해서 가..

[비전공자의 AI 부트캠프 일지 #2] 파이썬 기초와 데이터 분석

[비전공자의 AI 부트캠프 일지 #2]파이썬 기초와 데이터 분석_원티드 포텐업 24년 12월 2일 개강드디어 원티트 포텐업 데이터 ㆍAI 개발 부트캠프가 개강했다. 현재 1월 중반 기준으로 머신러닝 part를 배우고 있고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정규 수업을 진행하고 전체적인 커리큘럼은 아래와 같다. Part 1. 파이썬 기초와 데이터 분석 (12월) + 프로젝트Part 2. 머신러닝 (1월)  + 프로젝트 Part 3. 딥러닝 (2월)  + 프로젝트 Part 4. LLM (3월)  + 프로젝트 Part 5. AI와 XR 융합 프로젝트 (4월~5월) 원티드 포텐업의 경우 지금하고 있는 과정이 1기이기에 후기가 없어 고민이 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택했던 이유는 6개월의 시간동안 파이썬 기초부..

[비전공자의 AI 부트캠프 일지 #1] 부트캠프 한달, 방향성 찾아가기

벌써 2025년 1월 중반을 향해서 가고 있다니 돌아보면 시간은 항상 빠르게 지나가는 것 같다.  지난 3월 퇴사라는 단어에 진심을 다해 결심한 사건이 있었다. 그러나 결심만 했을 뿐, 회사에서 쏟아지는 사건과 일에 치여 그 결심은 뒤로 밀렸고개인적으로 쌓아야 할 것은 쌓지 못하고 6개월이란 시간이 흘렀다. 돌아보니, 내가 바꿀 수 없는 상황에 대해 이 악물고 하는 것만이 답이 아니라는 것과 나의 성장 가능성에 대해서 고민을 하게 되었다.내가 더 이상 이 순간에 머물러있으면 안 되겠다는 생각이 했고 이전과 같이 아쉬움을 남기지 않기 위해 움직여야 했다.  34살의 나이와 애매한 경력과 경험때문에 주변 사람들은 "나이 생각해, 이직 결정이 되면 나와야 한다." 라고 조언을 해주셨다 .나는 환경에 매몰되었던..